[뉴스포커스] 한미연합훈련 2주간 실시…야외기동훈련 4년만에 부활<br /><br /><br />북한이 윤석열 정부가 제시한 담대한 구상에 대한 거부 의사를 분명히 밝히며 한반도의 긴장 수위가 한층 높아진 가운데, 오늘부터 본격적인 한미 연합 연습이 시작됩니다.<br /><br />지난주 사전연습 기간에 순항 미사일 2발을 발사한 북한의 추가 도발이 주목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관련 내용들, 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과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어서 오십시오.<br /><br /> 오늘부터 후반기 한미연합연습이 시작되는데요. 새 정부 들어 처음으로 실시하는 연습이고, 이름도 '을지 자유의 방패'로 바뀌었잖아요? 이전 정부와 얼마나 달라진 건가요?<br /><br /> 이번에 다시 부활한 야외기동훈련이 왜 중요한 건가요?<br /><br /> 이번 '을지 자유의 방패' 연습은 1부와 2부로 나뉘어서 닷새 동안 진행이 되는데요. 1부와 2부의 내용으로 봤을 때, 북한이 어떤 부분에 있어 훨씬 더 반발할 가능성이 높은 건가요?<br /><br /> 오늘부터 25일까지 정부 연습인 '을지연습'도 1부 군사연습과 통합돼 3박 4일 동안 시행된다고 하는데요. '을지연습'이란 건 어떤 것이고, 이번에 한미 연합훈련과 연계해서 실시하는 이유가 있나요?<br /><br /> 이미 지난주 16일부터 나흘간 사전 훈련인 위기관리연습을 진행하는 동안 북한이 순항 미사일 2발을 발사했습니다. 북한은 연합연습을 '북침 전쟁 연습'이라며 반발을 해 오고 있고, 특히나 이번엔 대규모 야외기동훈련까지 재개가 될 예정이다 보니 북한의 고강도 도발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는데, 어느 정도 수준의 무력도발이 있을 거라고 예상하시나요?<br /><br /> 지난주 순항미사일 발사에 이어 이틀 뒤 김여정 부부장이 노동신문과 조선중앙방송 등을 통해 매우 높은 수위의 대남 비방 담화를 발표했는데요. 북한의 모든 주민이 볼 수 있는 대내 매체를 통해 김여정이 대남 비방 담화를 발표했다는 것은 어떤 의미라고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그동안 북한의 7차 핵실험에 대한 가능성이 여러 차례 제기가 돼 왔는데요. 이번 한미연합 연습이 7차 핵실험의 명분이 되는 것이 아니냐는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. 북한이 7차 핵실험의 타이밍을 언제쯤 잡을 거라 예상하시나요?<br /><br /> 북한이 어제는 노동신문에 김정은 위원장의 10년 성과로 핵 무력 완성에 대한 이야기를 실었고, 지난 19일 김여정 담화에서도 핵이 국가의 근간이라고 밝히기도 했는데요. 2019년 2월 하노이 노딜 이후 3년이 넘게 지났고, 새 정부가 들어서 새로운 대북 로드맵도 제시를 했지만 사실상 거부한 상황입니다. 북한의 비핵화에 대한 입장은 어떤 상황이라고 봐야 하는 걸까요?<br /><br /> 북한은 우리 정부가 아닌 미국과 대화를 하려고 하지만, 미국 입장에서는 지금 우크라이나 사태도 있고요. 북한 문제는 사실 우선순위에서 밀려나 있다 보니 북한 입장으로선 불안한 마음이 생길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. 오늘부터 동아시아·태평양 지역을 담당하는 대니얼 크리튼 브링크 미 국무부 차관보는 몽골에 이어 한국을 방한합니다. 북미 대화 가능성,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실제 북한이 핵실험을 감행한다면 미군 전략자산 전개를 비롯해 강력하고 확고한 대응을 할 것이라고 지난주 열렸던 한미 통합국방협의체 회의에서 밝혔는데요. 북한의 7차 핵실험이 가시화된 상황에서 실제로 한반도 내 전략자산 전개 가능성, 있다고 보시나요?<br /><br /> 미군 전략자산이 한반도에서 전개가 된다면 북한뿐 아니라 중국도 불편해할 텐데요. 최근 한중 외교장관회담 이후 중국 정부가 사드 문제로 한국을 압박하고 나선 상황에서 미 전략자산 전개 문제까지 더해진다면 중국과의 관계가 더 악화될 것 같은데,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